본문 바로가기

3D프린터40

모터 드라이버 Vref 캘리브레이션 방법_Motor Driver Vref Calibration Method 안녕하세요 Kevin입니다. 오늘은 3D 프린터에서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인 모터 드라이버!! 의 전압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 또한 현재 보유중인 프린터의 전압을 체크하고 조정을 해줘야하는데 사전에 어느정도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알아놔야 쇼트로인한 보드 사망을 막을 수 있겠죠? 자 그러면 모터드라이버 캘리브레이션이 왜? 필요한지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모터 드라이버 캘리브레이션 왜? 필요한가! 모터 마다 스펙이 있고 그 스펙에 부합한 허용 전류가 있습니다. 당연하게 허용 전류보다 한참 못 미치게 공급이되도 문제지만 그 이상으로 공급되게되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캘리브레이션(보정)을 해주어 안정적인 상태로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Vref를 조정해준다고도 합니다. (Volta.. 2020. 4. 9.
Ender3 - 노즐 막힘 솔루션_1 안녕하세요 Kevin입니다. 오늘은 출력을 진행하다가 노즐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생각지도 못하게 노즐 막힘에대한 솔루션을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노즐 막힘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엄청나게 많은 상황이 있지만... 이번 케이스는 [베드와 노즐의 간격이 충분치 않아 발생한 노즐 막힘입니다.] 이를 자세히 풀어 설명하자면, 베드와 노즐의 간격이 충분치 않을 경우 노즐 노출구가 막히게 되고 그로인해 지속공급되고 있는 PLA는 노즐 내부에서 고온에의해 부풀게되고 틈이란 틈사이로 전부 스며들며 그 PLA찌꺼기들 또한 지속적인 열로인해 부푸는 일이 반복됩니다. 이게 히트싱크부 까지 부풀게되면 히트싱크의 특성으로인해 급격하게 온도가 내려가게되어 노즐 노출구뿐만 아니라 노즐 전체가 막히는 상황이 되게됩니다. 이 상.. 2020. 4. 3.
Ender3 - 롤러 교체 방법 안녕하세요 Kevin 입니다. 사실 제가 사용중인 엔더3의 베드 롤러가 마모가 진행되고 있기때문에 교체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편심너트를 조절하여 어느정도 해소시키고 윤활구리스를 도포하여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지만 이미 마모가 진행된 롤러에대해서는 교체를 해야겠죠 ^^ 만약 교체를 안한다면 롤러가 마모되고 마모되어 유격이 더욱 심해질 수 있을 뿐더러 출력물의 퀄리티 또한 좋지 않을 것 입니다. 그래서! 쇠뿔도 단김에 뺀다고 했지요! 엔더3 모든 축에 사용되는 롤러를 교체해보도록하겠습니다. 그럼 교체하러 가시죠! 1. 먼저, 레벨링 너트를 돌려 베드를 제거한 후 베드 브라켓의 방향을 기억해줍니다. *베드 브라켓 방향이 뒤집히거나 반대로 장착하는 경우 홈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노즐이 베드를 짖누를 수 있습.. 2020. 4. 1.
3D Printer문제 - 베드 흔들림(순정스프링? 금형스프링 ?) 안녕하세요 Kevin입니다. 오늘은 3D Printer의 베드 스프링에대해 다뤄보겠습니다. Ender-3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A8도 순정이면 마찬가지고 보통 대부분의 DIY프린터가 비슷할 듯 싶습니다.) 프린터베드는 하단 사진처럼 베드와 베드 마운트를 연결해주는 스프링과 나사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이 베드에는 두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단점 1. 나사의 유격 2. 스프링과 나사 사이의 유격 이 두가지 단점으로인해 고속으로 프린팅하거나 가속도를 많이 높일 경우 스프링과 나사가 하단의 사진처럼 밀리면서 베드의 위치가 미세하게 변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나온 것이 아래와 같은 출력물입니다. 먼저 베드와 나사의 유격으로인한 흔들림을 해소해주기위해 와셔와 너트를 연결하고 베드 스.. 2020. 3. 28.
반응형